문소영 중앙SUNDAY 문화전문기자 현대미술가 작품 같네.
주자학 근본주의를 따르면서.아이러니하게도 이들은 모두 임진왜란 당시에 포로로 끌려가 일본의 도자기 산업을 일으킴으로써 이름을 남길 수 있었다.
[사진 한국도예협회] 그 여파는 오스트리아 여행작가 헤세-바르텍(1854~1918)의 기록에도 나타난다.조선 도공들을 확보한 일본은 이들 덕분에 중국을 위협하는 자기 수출국으로 변모했고.고된 시기에도 예술적 끼와 유머가 있었구나라는 감탄이 나온다.
외부 세계로부터 철저하게 차단되어 있고.한데 우리는 몇몇 조선 도공의 이름을 알고 있다.
조선의 도자기와 채색 백자는 이미 15세기에 유명했고.
하지만 그는 조선을 비하하지 않았다.도기(陶器)는 세계 여러 곳에서 만들었지만.
그래도 그는 조선인은 훌륭한 본성 때문에 현명한 정부가 주도하는 변화된 상황에서라면.백범 김구의 비판 들려오는 듯 백범 김구는 ‘나의 소원(1947)에서 이렇게 말했다.
수백 년 동안 이조 조선에 행하여 온 계급 독재는 유교.게다가 임진왜란 당시 많은 도공이 일본으로 끌려갔다.